발기부전치료제구매 전한길 “유튜브 수익 정지 당해”···찰리 커크 언급하며 “방탄복 샀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황준영 작성일25-09-18 00:07 댓글0건

본문

발기부전치료제구매 미국에 머물고 있는 극우 유튜버 전한길씨가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전한길 뉴스’가 보수 유튜버 탄압 정책으로 수익 정지 명령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신변의 위협을 느껴 방탄복을 구입했다고 말했다.
전씨는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에서 열린 트루스포럼 행사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트루스포럼은 2017년 창립된 국내 기독교 우파 및 극우성향 청년 단체다. 2025년 대선 ‘부정선거론’과 ‘윤 어게인’의 정당성을 미국에 알릴 목적으로 이번 행사를 개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행사에는 모스 탄 리버티대학 교수, 고든 창 등 미국 내 극우 인사들도 참석했다.
전씨는 구글코리아로부터 ‘민감한 문제’ 때문에 수익 정지 조치를 당했다고 밝히면서 나는 불법이나 범죄를 저지르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마도 이재명에게 잘못된 걸 잘못됐다고 말하고, 비판할 걸 비판하니까 그게 민감한 문제인가 보다라며 트럼프 대통령님, 구글 본사 보고 있나. 대한민국 구글코리아를 좌파가 장악했는지 보수 유튜버를 탄압하고 있다고 외쳤다.
전씨는 최근 발생한 미국 우익 활동가 찰리 커크의 암살 사건도 언급했다. 그는 커크는 나의 개인적인 롤모델이었다. 그는 자유를 갈망하는 미국, 대한민국, 전 세계 청년들의 희망이었다면서 미국의 슬픔은 곧 대한민국의 슬픔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자신이 대한민국에 있으면 언제 출국금지가 내려지고 구속될지 몰라 미국으로 왔다면서 이 행사 오면서도 누가 총 들고 있는 거 아닌가 싶어서 이틀 전에 150만원짜리 방탄복을 구입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에는 모스 탄 미국 리버티대 교수, 극우 보수주의자 고든 창, 전씨가 백악관 출입기자라 소개한 제니 박 등 미국의 대표적인 부정선거 음모론자들도 함께 자리했다. 고든 창은 오늘날 지구상에서 자유를 위한 전쟁의 최전선이 어디냐고 묻는다면 바로 대한민국이라고 했고, 모스 탄도 교회에 대한 공격, 압수수색이 미국에서 일어났다면 가만히 있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씨는 이들을 존경한다며 이곳에서 직접 뵈니까 대단히 반갑고 영광이다고 말했다.
홍콩관광청은 아시아 대표 미식 축제 ‘홍콩 와인 앤 다인 페스티벌’을 오는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나흘간 홍콩 센트럴 하버프론트에서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홍콩 와인 앤 다인 페스티벌’은 전 세계의 와인과 음식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홍콩의 대표 가을 미식 행사다. ‘포브스 트래블러’가 선정한 ‘세계 10대 미식 축제’ 중 하나로 꼽히며, 해마다 규모를 키워가고 있다.
올해 축제의 핵심은 ‘그랜드 와인 파빌리온’과 ‘테이스팅 룸’이다. ‘그랜드 와인 파빌리온’에서는 세계적 와인 평론가 제임스 서클링이 엄선한 와인을 비롯해 보르도 1855년 그랑 크뤼 분류 와인, 차세대 와인 메이커의 작품, 희귀 빈티지 와인 등을 시음할 수 있다. 1855년 보르도 공식 분류법 제정 170주년을 기념한 마스터 클래스와 한정 시음회도 준비됐다.
‘테이스팅 룸’은 축제 기간만 운영되는 팝업 레스토랑으로, 세계적 셰프들이 한 코스씩 맡아 완성한 프리미엄 다이닝을 선보인다.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으로 주목받은 정지선 셰프, 런던 미슐랭 2스타 레스토랑 ‘A. Wong’의 앤드류 웡, 베이징 미슐랭 3스타 레스토랑 ‘차오 샹 차오’의 청 얏 퐁이 협업 메뉴를 준비한다. 또한 광둥요리 명가 ‘차이나 탕’의 메넥스 청, JW 메리어트 호텔 홍콩 ‘만호’의 미슐랭 1스타 셰프 제이슨 탕도 참여해 정통 광둥요리를 선보인다.
‘고메 애비뉴’ 존에는 미슐랭 가이드와 블랙펄 레스토랑 가이드에 오른 레스토랑과 바가 참여한다. 미슐랭 2스타 ‘보 이노베이션’의 앨빈 렁, 세계에서 가장 많은 미슐랭 스타를 보유한 여성 셰프 안느 소피 픽이 시그니처 메뉴를 공개한다.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페어링 익스플로레이션’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와인을 시음하고 어울리는 음식 페어링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뉴 디스커버리’ 존에서는 체코·벨기에·노르웨이·오스트리아 등 새로운 산지의 와인과 최근 주목받는 중국 와인까지 만나볼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