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마그라구입 평가전 마지막 상대 찾는 홍명보호 “일단 모로코·튀니지는 대상 아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황준영 작성일25-09-21 01:47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카마그라구입 2026 북중미 월드컵을 준비하는 홍명보호가 11월 A매치의 마지막 상대를 찾고 있다.
홍명보 축구대표팀 감독(사진)은 월드컵 본선 티켓을 따낸 뒤 각 대륙 강호들을 골라 평가전을 치르는 월드컵 로드맵을 구상했다. 첫발을 내디딘 9월에는 본선 공동 개최국이자 북중미 강호 미국(2-0 승)과 멕시코(2-2 무)를 상대했고, 10월부터 남미 국가들과 경기를 치른다.
대한축구협회에 따르면 10월 A매치 기간 브라질(10일)과 파라과이(14일)를 안방으로 불러 평가전을 진행하고, 11월14일에는 볼리비아와 맞붙기로 했다. 한국이 약세를 보여온 남미 축구에 적응할 기회를 갖는 동시에, 12월6일 미국 워싱턴 케네디 센터에서 열리는 월드컵 조 추첨식에서 중요하게 작용할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관리에도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풀이된다.
FIFA는 조 추첨 직전의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를 배정하는데, 한국은 2번 시드의 경계선인 23위에 머물고 있다. 강팀들과 겨루면서 FIFA 랭킹을 사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10월과 11월 적절한 상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축구 현장에선 세계 최강을 다투는 브라질(5위)을 제외하면 파라과이(43위)와 볼리비아(78위) 모두 붙어볼 만하다고 평가한다.
아직 발표되지 않은 11월의 마지막 상대에 관심이 집중된다. 대한축구협회는 홍 감독의 의사에 따라 아프리카 국가들과 접촉하고 있다. 볼리비아전을 치른 직후인 17일이나 18일 경기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외신에서 모로코(12위)와 튀니지(49위)가 거론됐다. 두 나라 모두 월드컵 본선행을 이미 확정했다.
특히 모로코는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4강 돌풍을 일으킨 신흥 강호라 각국이 선호하는 연습 상대이기도 하다.
그러나 대한축구협회는 모로코와 튀니지 모두 접촉 대상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 통화하며 모로코와 튀니지 모두 11월 아시아를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아프리카는 10월까지 진행되는 지역예선 결과를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라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2개국과 접촉 중이라고 설명했다. 54개국이 9개 조로 나뉘어 진행 중인 아프리카 지역예선에서는 각 조 1위가 본선에 직행하고, 2위 중 상위 4개 팀은 11월 단판 토너먼트로 남은 2장을 놓고 다툰다. 홍명보호의 마지막 상대는 10월 예선까지 결과를 지켜봐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라진 양말한 짝 루시아나 데 루카 지음·줄리아 파스토리노 그림 | 문주선 옮김 | 여유당 | 40쪽 | 1만7000원
빨래를 하고 나면 양말 하나 홀로 남을 때가 있다. 집 구석구석을 찾아도 사라진 한 짝은 찾을 수 없다. 그리고 여기, 태어날 때부터 함께였던 양말 알록이와 달록이가 있다. 이 둘의 생이별도 어느 날 세탁기 속에서 갑작스레 찾아왔다.
달록이는 새카맣고 구불구불한 터널을 떠내려가던 중 눈을 뜬다. 알 수 없는 진녹색 이물질, 시커멓고 징그러운 털 뭉치 옆에서 하염없이 알록이를 찾는다. 혼자가 된 가엾은 존재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궁금해진다.
강을 건너고 바다에도 휘말린 달록이는 몸과 마음이 모두 지쳤다. 검은색 땅, 고여서 썩은 듯한 어두운 강물, 쓰레기가 둥둥 떠다니는 탁한 바다가 그려진 삽화를 넘길 때마다 달록이의 좌절과 슬픔이 함께 느껴진다. 달록이가 더 이상 알록이를 찾는 목소리마저 낼 수 없을 때, 어느 섬에 도착한다.
그곳엔 짝을 잃고 홀로 남은 양말들이 가득하다. 붉은 하트 무늬 양말, 푸른 별이 박힌 양말… 이들 중엔 요리사도 있고 우체부도 있고 또 커플도 있으며 홀로 즐겁게 살아가는 양말들도 있다. 이곳에서 달록이도 온전한 삶을 되찾는다. 줄리아 파스토리노는 혼자라도 밝게 빛나는 형형색색의 양말들을 앙증맞게 그려냈다. 부드럽고 둥근 선, 화사하면서 따뜻한 색감은 책장을 넘기는 손끝에 여운을 남긴다.
아르헨티나 작가 루시아나 데 루카는 짝 잃은 양말들이 서로 기대어 만드는 행복한 일상을 이야기한다. 평생 하나뿐이라고 생각했던 짝을 잃었다고 삶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며, 그 상실의 빈자리 또한 나를 이해하는 친구들과 함께라면 언젠가 메워진다는 희망도 전한다.
홀로서기에 성공한 달록이는 이제 섬에 도착한 새 친구를 맞이할 준비를 한다. 달록이가 만날 또 다른 양말은 누구일까.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그 만남을 향한 기대와 설렘이 이어진다.
홍명보 축구대표팀 감독(사진)은 월드컵 본선 티켓을 따낸 뒤 각 대륙 강호들을 골라 평가전을 치르는 월드컵 로드맵을 구상했다. 첫발을 내디딘 9월에는 본선 공동 개최국이자 북중미 강호 미국(2-0 승)과 멕시코(2-2 무)를 상대했고, 10월부터 남미 국가들과 경기를 치른다.
대한축구협회에 따르면 10월 A매치 기간 브라질(10일)과 파라과이(14일)를 안방으로 불러 평가전을 진행하고, 11월14일에는 볼리비아와 맞붙기로 했다. 한국이 약세를 보여온 남미 축구에 적응할 기회를 갖는 동시에, 12월6일 미국 워싱턴 케네디 센터에서 열리는 월드컵 조 추첨식에서 중요하게 작용할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관리에도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풀이된다.
FIFA는 조 추첨 직전의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를 배정하는데, 한국은 2번 시드의 경계선인 23위에 머물고 있다. 강팀들과 겨루면서 FIFA 랭킹을 사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10월과 11월 적절한 상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축구 현장에선 세계 최강을 다투는 브라질(5위)을 제외하면 파라과이(43위)와 볼리비아(78위) 모두 붙어볼 만하다고 평가한다.
아직 발표되지 않은 11월의 마지막 상대에 관심이 집중된다. 대한축구협회는 홍 감독의 의사에 따라 아프리카 국가들과 접촉하고 있다. 볼리비아전을 치른 직후인 17일이나 18일 경기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외신에서 모로코(12위)와 튀니지(49위)가 거론됐다. 두 나라 모두 월드컵 본선행을 이미 확정했다.
특히 모로코는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4강 돌풍을 일으킨 신흥 강호라 각국이 선호하는 연습 상대이기도 하다.
그러나 대한축구협회는 모로코와 튀니지 모두 접촉 대상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 통화하며 모로코와 튀니지 모두 11월 아시아를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아프리카는 10월까지 진행되는 지역예선 결과를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라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2개국과 접촉 중이라고 설명했다. 54개국이 9개 조로 나뉘어 진행 중인 아프리카 지역예선에서는 각 조 1위가 본선에 직행하고, 2위 중 상위 4개 팀은 11월 단판 토너먼트로 남은 2장을 놓고 다툰다. 홍명보호의 마지막 상대는 10월 예선까지 결과를 지켜봐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라진 양말한 짝 루시아나 데 루카 지음·줄리아 파스토리노 그림 | 문주선 옮김 | 여유당 | 40쪽 | 1만7000원
빨래를 하고 나면 양말 하나 홀로 남을 때가 있다. 집 구석구석을 찾아도 사라진 한 짝은 찾을 수 없다. 그리고 여기, 태어날 때부터 함께였던 양말 알록이와 달록이가 있다. 이 둘의 생이별도 어느 날 세탁기 속에서 갑작스레 찾아왔다.
달록이는 새카맣고 구불구불한 터널을 떠내려가던 중 눈을 뜬다. 알 수 없는 진녹색 이물질, 시커멓고 징그러운 털 뭉치 옆에서 하염없이 알록이를 찾는다. 혼자가 된 가엾은 존재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궁금해진다.
강을 건너고 바다에도 휘말린 달록이는 몸과 마음이 모두 지쳤다. 검은색 땅, 고여서 썩은 듯한 어두운 강물, 쓰레기가 둥둥 떠다니는 탁한 바다가 그려진 삽화를 넘길 때마다 달록이의 좌절과 슬픔이 함께 느껴진다. 달록이가 더 이상 알록이를 찾는 목소리마저 낼 수 없을 때, 어느 섬에 도착한다.
그곳엔 짝을 잃고 홀로 남은 양말들이 가득하다. 붉은 하트 무늬 양말, 푸른 별이 박힌 양말… 이들 중엔 요리사도 있고 우체부도 있고 또 커플도 있으며 홀로 즐겁게 살아가는 양말들도 있다. 이곳에서 달록이도 온전한 삶을 되찾는다. 줄리아 파스토리노는 혼자라도 밝게 빛나는 형형색색의 양말들을 앙증맞게 그려냈다. 부드럽고 둥근 선, 화사하면서 따뜻한 색감은 책장을 넘기는 손끝에 여운을 남긴다.
아르헨티나 작가 루시아나 데 루카는 짝 잃은 양말들이 서로 기대어 만드는 행복한 일상을 이야기한다. 평생 하나뿐이라고 생각했던 짝을 잃었다고 삶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며, 그 상실의 빈자리 또한 나를 이해하는 친구들과 함께라면 언젠가 메워진다는 희망도 전한다.
홀로서기에 성공한 달록이는 이제 섬에 도착한 새 친구를 맞이할 준비를 한다. 달록이가 만날 또 다른 양말은 누구일까.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그 만남을 향한 기대와 설렘이 이어진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